로고

로고

arrow_upward

공연

DMZ 오픈 국제음악제

DMZ 오픈 국제음악제 소개

DMZ 국제음악제 소개
예술감독 임미정

immijung piano 

2023 <DMZ 국제음악제>는, 디엠지가 상징하는 평화에 대한 소망을, 음악을 통한 인류애로 확산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음악은 위대한 음악가들의 숭고한 정신세계를 담고 있기에 그 자체로서 궁극의 휴머니즘을 표현합니다만, DMZ가 상징하는 현실세계에 던지는 화두로서 더 적극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국제음악제를 열게 되었습니다.  

 

2022년 세계국제콩쿨연맹이, 음악계에서 가장 유서깊은 콩쿨 중 하나인 차이코프스키 콩쿨을 연맹에서 퇴출시켰습니다. 그 행동을 이끈 플로리안 리임 사무총장은, 우리나라의 통영국제음악제를 오랫동안 이끌었었고, 윤이상 국제콩쿨의 설립에 기여했습니다. 

더불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우크라이나 키에프에서 열리던 호로비츠 콩쿨이 2023년 4월 세계국제콩쿨 연맹의 도움으로 제네바에서 개최되었고, 우승자인 로만 페데리코가 이번 <디엠지 국제음악제> 개막공연의 연주자로 최대되었습니다. 그리고 에네스쿠 국제콩쿨, 제네바 국제콩쿨에서 우승한 작곡가 김신의 DMZ 오픈 페스티벌 위촉작품 ‘Healing Light’이 경기 필하모닉의 연주로 세계초연될 예정입니다.  

 

8일간의 음악회는, <치유하는 빛>, <영화가 삶에게 말해주는 것들>, <진지한>, <다양한>, <대지의 노래>, <냉전을 넘어>, <그리고 내일...> 등의 주제로, 제네바 국제콩쿠르, 반 클라이번 국제 콩쿠르, 퀸 엘리자베스 국제콩쿠르, 칼플레쉬 국제콩쿠르, 윤이상 국제콩쿠르 입상자들의 연주로 이루어집니다. 실로 한 자리에 모이기 힘든 연주자들의 음악제이고, 대부분 우승 이후 첫 번째 내한연주들이기도 합니다.

 

폐막공연은 마에스트로 정명훈이 이끄는 KBS오케스트라의 연주로 2023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아시아권 남자로는 처음 우승한 바리톤 김태한과 윤이상 콩쿠르의 한재민이 협연할 예정입니다. 

 

음악회와 더불어, 세계국제콩쿨연맹 사무총장인 Florian Riem과, 냉전의 역사가 만든 반 클라이번 콩쿨의 대표인 Jacques Marquis, 퀸 엘리자베스 콩쿨의 Nicolas Dernoncourt 사무총장과 함께하는 심포지움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젊은 연주자들은 콩쿨이라는 형식을 통해 그들 음악의 완성을 점검해 봅니다. 그 치열한 노력과 콩쿨 이후, 과거의 역사에서 교훈을 얻고 평화를 만들어가고자 하는 뜻깊은 DMZ 국제 음악제에 모여서 아름다운 연주를 해줄 것이라 믿습니다. 

 

또한 수익금은 전액 자선단체에 기부되어, 음악이 표현하는 내적 아름다움과 디엠지 오픈 페스티벌의 취지를 널리 확장할 예정입니다.  



공연장소
고양아람누리 아람음악당
goyang aram

2007년 5월 개관한 고양시 일산동구 마두동에 위치한 아람누리는 ‘크고 아름다운 세상’이라는 의미의 우리말입니다. 공연장과 미술관, 야외 극장 외에도 문화예술 강의 시설과 카페·식당 등의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대규모 오라토리오 연주회도 소화해 내는 아람음악당은 1,449석의 객석과 최적의 음향을 전달하기 위한 직사각형(슈 박스 형식) 전용홀로 설계되었습니다. 2023 DMZ OPEN 페스티벌 국제음악제는 최상의 건축 음향을 자랑하는 아람음악당을 주무대로 하여 진행됩니다.
 

음악제 전체 일정

11월 4일 토요일 5:00 PM『개막 공연』<빛 / Healing Light>
김신(작곡) / 로만 페데리코(피아노) / 경기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임헌정(지휘)

11월 5일 일요일 5:00 PM『시네마 콘서트』<영화가 삶에게 말해주는 것들 / The Memoirs of Cinema>
김은채(바이올린) / 과천시립교향악단 / 아드리엘 김(지휘)

11월 7일 화요일 8:00 PM『예술감독 콘서트 Ⅰ』<진지한! / Serious!>
김은채(바이올린) / 일리야 라쉬코프스키(피아노) / 임희영(첼로) / 임미정(피아노)

11월 8일 수요일 8:00 PM『예술감독 콘서트 Ⅱ』<다양한! / Various!>
임희영(첼로) / 박혜지(타악기) / 로만 페데리코(피아노) / 정인호(베이스) / 임미정(피아노)

11월 9일 목요일 8:00 PM『퀸 엘리자베스 갈라 콘서트』<대지의 노래 / Letter from Mother Earth>
김태한(바리톤) / 정인호(베이스) / 일리야 라쉬코프스키(피아노)

11월 10일 금요일 7:30 PM『반 클라이번 피아노 콘서트』<냉전을 넘어 / The Cold War and Beyond>
드미트리 초니(피아노) / 안나 게뉴시네(피아노)

11월 11일 토요일 3:00 PM『폐막 공연』<그리고 내일 / Tomorrow>
한재민(첼로) / 김태한(바리톤) / KBS교향악단 / 정명훈(지휘)


*일정 및 프로그램 등은 변경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중입니다.*


출연 아티스트

김태한 Taehan Kim

[Queen Elisabeth Competition] First Prize 바리톤

11. 09. 목요일 8:00 PM 『퀸 엘리자베스 갈라 콘서트』 <대지의 노래 / Letter from Mother Earth>
11. 11. 토요일 3:00 PM 『폐막 공연』 <그리고 내일 / Tomorrow>

kimtaehan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1위를 수상한 바리톤 김태한은 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 재학 중이며, 나건용 교수를 사사했습니다. 2022년 한해동안 그는 노이에 슈팀멘 국제성악콩쿠르 브라이언 디키 젊은 음악가 특별상, 광주성악콩쿠르 2위상, 리카르도 잔도나이 국제성악콩쿠르 장학상, 스페인 테너 비냐스 국제성악콩쿠르 특별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으며, 그밖에도 2018년에 신한음악상, 2021년에 중앙음악콩쿠르 2위를 수상했습니다. 금호영아티스트콘서트로 작년 9월에 리사이틀로 데뷔한 그는 서울대학교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오펜바흐의 ‘호프만 이야기’에 출연하기도 했습니다.

vertical_align_top

안나 게뉴시네 Anna Geniushene

[Van Clibur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Silver Medalist 피아노

11. 10. 금요일 7:30 PM 『반 클라이번 피아노 콘서트』 <냉전을 넘어 / The Cold War and Beyond>

anna

Anna Geniushene’s fresh, layered, and powerful interpretations defined her participation at the 2022 Van Clibur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and won her the coveted silver medal and the adoration of fans around the globe. And the critics couldn’t get enough: “powerhouse sound, forceful musical personality, and sheer virtuosity...had this critic on the edge of his seat” (Musical America); “a performance of rare devotion and insight” (Onstage NTX); “a fresh version...that had this listener hanging on every bar” (La Scena).

And when Anna closed the Cliburn Competition with a momentous performance of the Tchaikovsky Piano Concerto No. 1, Gramophone likened it to the contest’s revered namesake, “I couldn’t help but equate Anna Geniushene’s seasoned pianism to Cliburn at his best.”

Highlights of the upcoming 2022–2023 season include recital appearances at the Grand Teton Music Festival, Festival International de la Roque

d’Antheron, and across the United States; a tour of Japan with pianist Andrey Gugnin; piano duo concerts with Wu Han and Dmytro Choni at Wolf Trap and La Musica Festival; engagements with the Lithuanian State Symphony Orchestra and Lithuanian Chamber Orchestra; and the birth of her second child.

Born in Moscow on New Year’s Day in 1991, Anna made her recital debut just seven years later in the small hall of the Berlin Philharmonic. She has since developed a diverse and versatile career as an artist: performances in major world venues such as the Town Hall in Leeds, National Concert Hall in Dublin, Museum of Arts in Tel Aviv, the Konzerthaus ‘Neue Welt,’ Great Hall of Moscow Conservatory, and Sala Greppi in Milan; a dedication to chamber music, including duo piano repertoire with her husband, Lukas Geniušas, and close collaboration with Quartetto di Cremona; and the creation of her own festival of collaborative music-making (NikoFest).

During the pandemic, Anna’s penchant for creativity manifested in online projects, such as a series of online recitals for the Vancouver Chopin Society, participation in the “Armchairs Season” of the Moscow Philharmonic, and recording sessions for the ConSpirito music channel on YouTube. Her debut CD was released on LINN Records in March 2020. A laureate of major international piano contests, she previously had strong finishes at the Leeds, Tchaikovsky, Busoni, and Dublin Competitions.

Anna Geniushene graduated from the Moscow Tchaikovsky Conservatory in 2015, and completed her Master’s with Distinction and Advanced Diploma from the Royal Academy of Music (London) in 2018. She was also one of the elite Bicentenary Scholars at the Academy under the tutelage of Christopher Elton. She currently resides in Lithuania with her husband and their young son, Tomas.

vertical_align_top

로만 페데리코 Roman Fediurko

[Horowitz Competition Kyiv-Geneva] Prize Winner 피아노

11. 04. 토요일 5:00 PM 『개막 공연』 <치유하는 빛 / Healing Light>
11. 08. 수요일 8:00 PM 『예술감독 콘서트 Ⅱ』 <다양한! / Various!>

로만

Born in Kyjiv, Ukraine, Roman entered the children’s music school No. 21 in Kyjiv at the age of 5, in the class of Ghalyna Kotsjuba. He started to participate in music competitions when he was 6 years old. Roman is a Laureate and a Scholar of the “New Names of Ukraine” by the Ukrainian Foundation of Culture. He is a scholar of the International Academy of Music in Liechtenstein. Roman was also awarded the EMCY Prize in 2019 and 2022. In 2021, he received the Scholarship for young artists of the President of Ukraine. Roman is currently a student of Prof. Dr. Milana Chernyavska at the University of Music and Performing Arts Graz.

He has won prizes at many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s, the latest being the 1st Prize at the 10th Yamaha USASU International Senior Piano Competition in Tempe, Arizona, USA (2023), the 1st Prize at the Robert Schumann Competition Düsseldorf for Young Pianists in Düsseldorf, Germany (2023), and the 1st Prize and the Gold Medal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Young Pianists in Memory of Vladimir Horowitz Kyiv-Geneva in Geneva, Switzerland (2023).

Roman has appeared on the stages of Salle Cortot in Paris, France, Gustav Mahler Hall in Toblach, Italy, Kammermusiksaal of the Beethoven-Haus in Bonn, Germany, Vortragssaal of the Tonhalle Zürich in Zürich, Switzerland, Robert-Schumann-Saal in Düsseldorf, Germany, Victoria Hall in Geneva, Switzerland, and many others.

vertical_align_top

드미트리 초니 Dmytro Choni

[Van Clibur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Bronze Medalist 피아노

11. 10. 금요일 7:30 PM 『반 클라이번 피아노 콘서트』 <냉전을 넘어 / The Cold War and Beyond>

드미트리

Dmytro Choni took home bronze at the Van Clibur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in June 2022, only the second Ukrainian pianist to medal at the prestigious contest. He won hearts and accolades with a compelling and colorful musicality that is fortified by a genuine, immediately engaging stage presence. As one critic noted: “Each time he strode onstage, it was with winning confidence and a big smile. He’s clearly an accomplished, assured―and communicative—pro” (Dallas Morning News).

Dmytro Choni began piano in his native Kyiv when he was 4 years old. He earned a bachelor’s degree from the Tchaikovsky National Music Academy of Ukraine under the guidance of Yuri Kot, then moved to Austria in 2015 to study with Milana Chernyavska at the Kunstuniversität Graz. His Cliburn prize builds on an already impressive resumé: he is laureate of several top competitions and has collaborated with renowned orchestras and in major halls and festivals across Europe, the United States, South America, and Asia.

Recent and upcoming highlights include debuts at Wiener Musikverein and the Lucerne Festival; recital tours across Europe, including Elbphilharmonie in Hamburg and Palau de la Música in Barcelona; appearances with the Wiener Kammerorchester and Polish Chamber Philharmonic Orchestra; and collaborations with violinists Frank Peter Zimmerman and Josef Špaček and cellist Julian Steckel. His artist-in-residency at Edesche Concertzaal in the Netherlands will feature a series of solo and chamber collaborations. Eager to explore the connection between music and other artforms, Dmytro performs in Wiener Konzerthaus’ Poetry and Music Series, pairing solo piano with André Gide’s Prometheus Illbound.

vertical_align_top

정명훈 Myung Whun Chung

지휘자 Conductor

11. 11. 토요일 3:00 PM 『폐막 공연』 <그리고 내일 / Tomorrow>

정명훈

1974년 차이코프스키 국제 콩쿠르 피아노 부문 2위, 한국 금관문화훈장, 이탈리아 음악비평가협회 프랑코 아비아티상, 이탈리아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상, 프랑스 올해의 음악상, 프랑스 음악 비평가협회 선정 올해의 아티스트,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 등 수상한 정명훈은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 극장(현 파리 국립오페라)의 음악감독 취임, 로스앤젤레스 픽하모닉 오케스트라, 자르브뤼켄 방송 교향악단,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 관현악단, KBS 교향악단,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서울시립교향악단,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등 세계적인 단체에서 지휘를 하였습니다.

vertical_align_top

김신 Shin Kim

작곡가 Composer

11. 04. 토요일 5:00 PM 『개막 공연』 <치유하는 빛 / Healing Light>

김신

작곡가 김신은 1994년 서울에서 출생하였습니다. 현재 영국 왕립음악원 (Royal Academy of Music)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그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예술사를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하였으며, 오스트리아 비엔나 국립음대에서 교류수학과정을 수료하였습니다.

2022년 한국음악상 젊은음악가상을 수상하고 2019년 사)한국작곡가협회 파안생명나무작곡가로 선정된 작곡가 김신은 제네바 국제콩쿠르 1위, 제오르제 에네스쿠 국제콩쿠르 교향악작곡부문 우승, 중앙음악콩쿠르 1위, 세일 한국가곡콩쿠르 1위, 아가페교회음악창작음악제 대상 등 다양한 국내외 콩쿠르에서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으며, 그의 작품은 네덜란드 가우데아무스 음악제, 오스트리아 빈 모던 페스티벌, ARKO 한국창작음악제, 대한민국 실내악 작곡제전을 포함한 세계의 여러 음악제에서 국립합창단,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KBS교향악단, 아시아연합오케스트라, 우즈베키스탄 국립교향악단, Neue Vocalsolisten Stuttgart, Riot Ensemble, CHROMA 등의 연주단체에 의해 연주되었습니다.

그는 현재 국제현대음악협회(ISCM) 한국지부 회원이자 앙상블 SONOR XXI 상임 작곡가로써 활발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vertical_align_top

김은채 Eun Che Kim

바이올린 Violin

11. 05. 일요일 5:00 PM 『시네마 콘서트』 <영화가 삶에게 말해주는 것들 / The Memoirs of Cinema>
11. 07. 화요일 8:00 PM 『예술감독 콘서트 Ⅰ』 <진지한! / Serious!>

김은채

바이올리니스트 김은채는 열살이라는 늦은 나이로 바이올린을 시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012년 동국대학교 콩쿠르 1등, 2014년 이화경향콩쿠르 1등없는 2등, 2015년 세계일보콩쿠르 1등, 2016년 KBS 한전음악콩쿠르 은상, 노보시비르스크 국제 음악콩쿠르 2등 및 특별상을 받으며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그 외에도 2017년 제 24회 요하네스 브람스 국제콩쿠르에서 3등, 2022년 칼 닐센 국제콩쿠르 3등, 2023년 ArsClassica 국제 음악콩쿠르 1위, 칼 플래쉬 콩쿠르 1위 및 세 개의 특별상을 수상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 외에 폴란드 크리조바 음악 페스티벌, 니트조 음악 아카데미, 호엔슈타우펜 음악 페스티벌, 가슈타드 스트링 아카데미, 칼 플레쉬 음악 아카데미 등에서 실내악 연주자 및 솔리스트로 활약을 했으며, 성남 심포니 오케스트라, 베누스토 심포니 오케스트라, KBS 심포니 오케스트라, 강릉시립교향악단, 리브 심포니 오케스트라, 바덴바덴 필하모니, 오덴세 심포니 오케스트라, 코펜하겐 필하모니, 그리고 사바리아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과 함께 무대에 올랐습니다. 김은채는 안나 추마첸코, 레오니다스 카바코스, 가보르 터카치 너지, 안티에 바이타스 등 많은 유명 음악인들로부터 마스터 클라스를 받았으며 현재 예원학교, 서울예고를 거쳐 서울대 재학중 도독하여 한스 아이슬러 음악대학교에서 콜리야 블라허와 학사를 졸업하고 울프 발린 교수와 석사 재학중에 있습니다.

vertical_align_top

한재민 Jaemin Han

[Queen Elisabeth Competition] Third Prize 첼로

11. 11. 토요일 3:00 PM 『폐막 공연』 <그리고 내일 / Tomorrow>

한재민

2006 년생 첼리스트 한재민은 2021년 루마니아에서 열린 제오르제 에네스쿠 국제 콩쿠르에서 열다섯의 나이로 최연소 우승을 거머쥐었습니다. 같은 해, 두 달 뒤에는 제네바 국제 콩쿠르 3 위 및 특별상을 받아 50년 만의 첼로 부문 한국인 입상자라는 영예를 얻었습니다. 또한, 2022년 윤이상 국제 음악 콩쿠르 결선에서 윤이상의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1976)’을 연주해 우승을 차지했는데, 결선에서 이 협주곡을 연주해 우승한 건 콩쿠르 20년 역사상 첫 기록이었습니다. 그의 콩쿠르 석권은 일찌감치 주니어 시절부터 시작됐다. 2015년 오사카 국제 음악 콩쿠르, 2017년 헝가리 다비드 포퍼 국제 첼로 콩쿠르, 2019년 독일 돗자우어 국제 첼로 콩쿠르에서 1위를 휩쓸었습니다. 이 화려한 이력들은 그가 5세에 첼로를 시작한 지 10년 만에 이룬 성과입니다. 2021/22 시즌에 한재민은 한국에서 첫 리사이틀 무대를 열었고, 김선욱 지휘로 부산시립교향악단과 드보르작 첼로 협주곡을 연주해 남다른 무대를 선사했으며,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에도 올랐습니다. 한편, 유럽 주요 무대로도 꾸준히 활동을 넓혀가는 중입니다. 2021년 제오르제 에네스쿠 페스티벌에서 초청받아 자그레브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협연했고, 2022년에는 동 페스티벌에 에네스쿠 콩쿠르 우승자로서 오프닝 공연에 초대되어 아이나르스 루비키스 지휘로 에네스쿠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연주했습니다.

2022/23 시즌 주목할 만한 연주로는 통영 국제음악제 리사이틀, 안드리스 포가 지휘로 스타방예르 심포니 오케스트라와의 노르웨이 데뷔, 성시연 지휘자가 이끄는 오클랜드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와의 뉴질랜드 데뷔, 구스타보 히메노 지휘의 룩셈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내한 공연 협연 등이 있습니다.

정명화에게 사사 받은 뒤,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영재 입학한 한재민은 이강호, 츠요시 츠츠미 교수를 사사하고 있습니다. 다니엘 뮐러-쇼트, 미클로스 페레니, 줄리안 슈테켈, 지안왕, 루이스 클라렛, 에드워드 아론, 로런스 레서, 폴 캐츠 등 세계적인 명성의 첼리스트 마스터 클래스에 참여하며 음악 세계를 넓히고 있습니다. 한재민은 삼성문화재단으로부터 조반니 그란치노 첼로를 대여받아 연주하고 있습니다.

아르투르 루빈슈타인의 쇼팽부터 빌 에반스, 쳇 베이커, 베리 해리스에 이르는 다양한 음악을 듣고, 첼로 즉흥 연주를 즐깁니다. 축구를 즐기는 토트넘 핫스퍼 팬이기도 합니다.

vertical_align_top

임희영 Hee Young Lim

첼로 Cello

11. 07. 화요일 8:00 PM 『예술감독 콘서트 Ⅰ』 <진지한! / Serious!>
11. 08. 수요일 8:00 PM 『예술감독 콘서트 Ⅱ』 <다양한! / Various!>

임희영

“뛰어난 음악성과 유려한 테크닉을 지닌 주목해야할 아티스트”(유력 일간지 워싱턴포스트 WP)

“세련된 연주와 비단결 같은 아름다운 소리”(그라모폰 Grammophon)

“따뜻하고 표현력이 풍부한 음색”(BBC Music Magazine)

세계적인 권위의 워싱턴포스트, 영국 그라모폰, BBC Music Magazine등으로부터 호평받은 첼리스트 임희영은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8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였습니다.

그녀는 워싱턴 DC의 케네디센터, 뉴욕의 카네기홀, 영국 맨체스터 브릿지워터홀, 베를린 필하모니 챔버홀 등 세계의 유명 공연장에서 연주하였으며 부다페스트 방송교향악단, 바르샤바 필하모닉, 휴스턴 심포니, 독일 베를린 챔버오케스트라, 바덴바덴 필하모니, 자그레브 솔로이스츠, 베이징 심포니, 우한심포니등 해외 유수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고 국내에서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통영국제음악제, 서울스프링실내악페스티벌, KBS교향악단, 코리안 심포니, 경기필하모닉, 인천시향, 대전시향, 수원시향, 광주시향등과 협연하며 한국의 젊은 음악가로서 인지도를 쌓아 왔습니다.

일찍이 1998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예비학교에 입학하며 금호영재, 금호 영아티스트, 금호 라이징스타 시리즈 출신으로 제47회 이화•경향 콩쿠르, 예원을 빛낸 상을 비롯하여 2008년 소란틴 국제 현악콩쿠르 1위, 휴스턴 이마호스 국제콩쿠르 2위, 2009년 워싱턴 국제 현악콩쿠르 1위, 시카고 바넷 첼로콩쿠르 1위, 2011년 폴란드 루토슬라브스키 국제 첼로 콩쿠르에서 3위등 다수의 콩쿠르에서 입상하며 마에스트로 야닉 네제 세갱이 음악감독으로 재직 당시 4년 동안 공석이었던 로테르담 필하모닉 첼로 수석으로 임명되어 활동하다 후학양성을 위해 중국의 최고 명문 음악원으로 꼽히는 베이징 중앙 음악원의 첼로 교수로 부임하였습니다. 예원학교 졸업 후,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예술영재로 만15세에 입학하여 학사 졸업 후 미국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유럽으로 건너가 프랑스 파리국립고등음악원에서 만장일치로 수석 입학, 만장일치로 수석졸업, 독일 바이마르 국립 음대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하였습니다. 교육자로서 학구적인 열정을 보여주고 있는 그녀는 2023년 9월 프랑스 파리 말메종 음악원과 라흐마니노프 음악원 초청으로 마스터클래스와 연주가 예정되어 있으며 올 가을 9월, 영국 Orchid Classics에서 첼로 소품집 <Estrellita>가 인터내셔널 반으로 발매되어 현재까지 총 8장의 정규앨범이 발매되었습니다. 그녀가 발매한 앨범은 영국가디언, 그라모폰,BBC뮤직매거진 등 해외의 권위있는 언론으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영국BBC Radio 3, Classic fm, Scala Radio, 미국 시카고 WFMT, 뉴욕 WKCR,WQXR, 보스턴 WCRB, 로스앤젤레스KUSC, 캐나다 CKUW등 각국의 주요 라디오에서 소개되었습니다.

현대음악에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그녀는 통영 국제 음악제에서 야콥 얀코프스키의 첼로 소나타를 초연하였고, 서울문화재단에 선정되어 한국 여성작곡가들의 곡을 초연하는 프로젝트를 공연과 음반으로 마쳤습니다. 중국 주하이 국제 페스티벌에 초청되어 6개의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하루에 완주하는 기록을 세우며 의미 있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vertical_align_top

박혜지 Hyeji Pak

퍼커션 Percussion

11. 08. 수요일 8:00 PM 『예술감독 콘서트 Ⅱ』 <다양한! / Various!>

박혜지

퍼커셔니스트 박혜지는 10년만에 개최된 2019 제네바 국제 콩쿠르 타악기 부문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 및 관중상, 청소년 관중상, 제네바 학생 관중상, 야마하 영아티스트상, 쥬씨 콘서트상, 버그라울트 마림바상까지 제네바 콩쿠르 역사상 최초로 6개 부문의 모든 특별상을 석권하며 관객을 끌어당기는 매력을 가진 퍼커셔니스트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2015 벨기에 국제 마림바 콩쿠르 1위 및 4개의 특별상을 수상하였으며, 2015 독일 슈파르다 클래식 어워드 우승, 2016 미국 시카고 국제 타악기 콩쿠르 3위, 2016 독일 뮌헨 어거스트-에버 딩 타악기 콩쿠르 2위를 수상하였습니다.

2021년 롯데콘서트홀에서 지휘자 오스모 벤스케가 이끄는 서울시립교향악단과 함께 페테르 외트뵈시의 ‘스피킹 드럼’을 국내 초연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스위스 제네바 체임버 오케스트라와 함께 마이클 자렐의 타악기 협주곡을 스위스 초연으로 무대에 올리며 타악기 독주자로서 한국과 유럽을 오가며 눈부신 활약을 보였습니다.

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콘스탄츠 남서독일필하모니, 쿼들리벳 앙상블 서울시립교향악단,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대구시립교향악단, 부천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제주체임버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함께 협연하였으며, 오스모 벤스케, 가브리엘라 테이체네, 줄리 앙 르로아, 리 비아오, 이재준, 김홍식, 정나라, 장윤성을 비롯한 저명한 지휘자들과도 호흡을 맞춘 바 있습니다.

독주자로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박혜지는 2022년 세계적으로 유명한 타악기 회사 중 하나인 말렛텍의 아티스트로 선정, 세계적인 아티스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위스 레조데르 페스티벌과 프랑스 페리고르 누아 페스티벌, 프랑스 포 타악기 페스티벌, 크로아티아 국제 타악기 페스티벌 IPEW, 콜베르그 50주년 타악기 페스티벌, 덴마크 왕립 음악 원에서의 퍼커션 펄스 2020 초청연주 등을 비롯한 세계적인 음악 페스티벌에 초청되었습니다. 프 랑스 파리의 성당에서의 리사이틀과 스위스 쥬씨, 제네바, 프랑스 파리 등지에서의 초청 독주 회는 물론, 예술의전당, 롯데콘서트홀, 수성아트피아, 대구콘서트하우스, 천안예술의전당 등 국내 무대에서도 그녀의 이름을 알리며 오케스트라 협연과 리사이틀, 그리고 앙상블까지 솔리스트로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만15세에 타악기를 공부하기 시작한 박혜지는 서울대학교 졸업 후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음 대에서 석사과정과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하였고 정희라, 최경환, Marta Klimasara를 사사하 였다. 또한 2022년부터 영남대학교와 경북대학교에 출강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vertical_align_top

정인호 Inho Jeong

베이스 Bass

11. 08. 수요일 8:00 PM 『예술감독 콘서트 Ⅱ』 <다양한! / Various!>
11. 09. 목요일 8:00 PM 『퀸 엘리자베스 갈라 콘서트』 <대지의 노래 / Letter from Mother Earth>

정인호

베이스 정인호는 2023년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쿠르 준우승, 퀸 엘리자베스 국제콩쿠르 5위를 연이어 거머쥐며 클래식계와 세계 무대의 주목을 받았고, 22/23 시즌 유럽 데뷔 후 현재 세계 오페라 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2022년 이탈리아 리카르도 잔도나이 국제콩쿠르, 오스트리아 페루초 탈리아비니 국제콩쿠르, 비엔나 옷토 에델만 국제콩쿠르, 프랑스 마르망드 국제콩쿠르에서 모두 우승하였고, 같은 해 포르투갈 루사다 국제콩쿠르 준우승, 헝가리 에바 마르톤 국제콩쿠르 3위 및 특별상, 스페인 비냐스 국제콩쿠르 특별상, 러시아 컴페티치오네델 오페라 국제콩쿠르 특별상 등 짧은 시간 세계 유수의 콩쿠르들을 석권하면서 세계무대에서 그 실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서울대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그는 깊고 탄탄한 발성과 진정성 있는 음악으로 동아음악콩쿠르 1위, 대구국제성악콩쿠르 최우수상, 광주성악콩쿠르와 중앙음악콩쿠르, 한국성악콩쿠르 3위, 한국성악가협회 국제성악콩쿠르 1위, 양수화 국제성악콩쿠르 1위 등 국내의 권위 있는 콩쿠르들에도 입상하며 국내에서도 꾸준히 그기량을 인정받아왔습니다.

22/23 시즌 독일 뮌헨의 게르트너플라츠 극장에서는 처음 공연 된 베르디 오페라 루이자 밀러에서 발터백작 역을 맡아 주역으로 성공적인 데뷔를 했으며, 23/24 시즌부터 독일 프랑크푸르트 극장, 벨기에 리에주 극장, 프랑스의 리옹 극장과 보르도 극장, 프랑스 엑상프로방스 페스티벌 등 24/25 시즌까지 세계 각지의 무대에서 데뷔하며 활발히 활동할 예정입니다. 또한 23/24 시즌부터 거장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의 초청으로 러시아 마린스키극장에서의 데뷔를 앞두고 있습니다.

vertical_align_top

임미정 Mijung Im

[San Antonio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First Prize 피아노

11. 07. 화요일 8:00 PM 『예술감독 콘서트 Ⅰ』 <진지한! / Serious!>
11. 08. 수요일 8:00 PM 『예술감독 콘서트 Ⅱ』 <다양한! / Various!>

임미정

음악을 통해 자연과 평화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피아니스트 임미정은, 한세대학교 예술학부 교수이자 (사)하나를 위한 음악재단의 설립자입니다. 중국 연변대학교 석좌교수, 국민일보와 월 스트리트 저널 코리아등의 컬럼 활동 및 교육자로서의 역할과 성찰을 통해 음악의 이상이 사회적 활동에서 구현되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서울 대학교 음대 졸업 후, The Juilliard School에서 석사, SUNY at Stony Brook에서 박사, 2017년 카톨릭대 생명문화대학원에서 생명문화학 석사를 받았습니다. 84년 동아콩쿨 1위 입상, 1997년 San Antonio 국제 피아노 콩쿨에서 1위 입상했습니다. 미국의 평론가 모리스 힌슨은 임미정의 연주를 평가하며, ‘이 시대 가장 중요한 피아니스트 중 한명‘으로 극찬한 바 있습니다. 

임미정은 2018년 6월 강원도 양구에 있는 국립 DMZ자생식물원에서 UN오케스트라와 함께, DMZ를 PLZ(비무장지대를 생명과 평화의 지대로)로 인식하자는 PLZ(Peace and Life Zone)페스티벌을 시작, 2020년 이후 강원도 5개군 접경지역의 PLZ페스티발에서 예술감독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2023년부터는 ‘더 큰 평화’를 주제로 DMZ의 생태·평화·역사 가치를 알리는 DMZ OPEN 페스티벌의 총감독을 맡고 있습니다. 

vertical_align_top